반응형
디자인 시스템을 구축하거나, 협업할 때 필수 툴인 Figma. 무료버전으로도 충분히 강력한 기능을 제공하지만, 유료버전을 활용하면 더욱 효율적인 워크플로우를 만들 수 있습니다. 이번 포스팅에서는 무료버전과 유료버전의 차이점을 상세히 비교해보겠습니다.
✅ 무료버전 (Starter Plan)
- 프로젝트 생성 개수 제한: 3개의 프로젝트까지 생성 가능
- 파일 히스토리: 최근 30일 기록만 확인 가능
- 공동 작업 인원: 최대 2명
- 컴포넌트 및 스타일 가이드: 사용 가능
- 프로토타입 기능: 기본 제공
- 플러그인 및 위젯 사용 가능
- 디자인 시스템 라이브러리 공유 제한: 제한적
💡 추천 대상: 개인 디자이너, UI/UX 학습자, 소규모 프로젝트 작업자
✅ 유료버전 (Professional Plan & Organization Plan)
🎯 Professional Plan
- 무제한 프로젝트 생성 가능
- 무제한 공동작업 인원 추가 가능
- 파일 히스토리 무제한 저장 (버전 관리 가능)
- 디자인 시스템 라이브러리 공유 및 동기화
- 컴포넌트 및 스타일 가이드 완벽 활용
- 팀 워크스페이스 제공
- 비공개 프로젝트 생성 가능
💡 추천 대상: 스타트업, 소규모 팀, 디자인 시스템 구축을 시작한 디자이너
🎯 Organization Plan
- 모든 Professional Plan 기능 포함
- 팀별 권한 관리 및 접근 제어
- 관리자 대시보드 및 분석 기능
- SSO(Single Sign-On) 지원
- 엔터프라이즈급 보안 기능
- 디자인 시스템 관리 자동화
💡 추천 대상: 대규모 디자인 팀, 기업용 디자인 시스템 구축 및 관리 팀
✅ 무료 VS 유료 기능 비교표
기능무료버전ProfessionalOrganization
프로젝트 개수 제한 | 3개 제한 | 무제한 | 무제한 |
공동 작업 인원 | 2명 제한 | 무제한 | 무제한 |
파일 히스토리 | 30일만 제공 | 무제한 | 무제한 |
컴포넌트 관리 | 기본 제공 | 고급 컴포넌트 관리 | 고급 컴포넌트 관리 |
디자인 시스템 동기화 | 제한적 | 완전 동기화 가능 | 완전 동기화 가능 |
관리자 권한 설정 | X | X | O |
SSO(싱글사인온) | X | X | O |
🔥 결론: 어떤 플랜을 선택해야 할까?
- 개인 디자이너: 무료버전으로도 충분히 디자인 및 프로토타입 제작 가능
- 소규모 팀: Professional 플랜으로 협업 및 디자인 시스템 구축 효율성 향상
- 대규모 팀/기업: Organization 플랜으로 보안 및 권한 관리까지 완벽하게
🎁 추가 팁: 효율적인 활용법
1️⃣ 무료버전으로 UI 컴포넌트를 제작하고, 디자인 시스템 구축 단계에서 유료로 업그레이드하기
2️⃣ 팀 단위 협업 시 Professional 플랜으로 전환하여 컴포넌트 및 라이브러리 동기화
3️⃣ 기업용 프로젝트 진행 시 Organization 플랜으로 보안과 효율성 강화
이제 Figma 플랜 선택으로 고민하지 마세요! 👏
반응형